畵 (화)

선비와 기녀

littlehut 2015. 5. 4. 11:04

 

 

 

                 작자 미상 <선비와 기녀>  19세기, 종이에 담채, 19.5x33cm,  개인 소장

 

자, 이제 좀 놀아볼 성싶은 남녀들을 돌아볼 차례다. 작자 미상의 <선비와 기녀>는 속된 말로, 지금 막 '작업'이 진행되는 순간을

그린 풍속화다.  모티프나 필세筆勢가 신윤복을 빼닮은 그림이고 등장인물의 자태마저 그의 작품에 그대로 나오지만, 엄격한 전

문가들이 그래도 신윤복 작품은 아니라고 했다.   얼른 보면 전통무용이나 뮤지컬의 한 장면 같다. 두 남녀의 맵시에서 런웨이를

누비는 모델의 포즈가 떠오르기도 한다.   선비의 날리는 두루마기 자락은 멋이 넘친다. 부채를 든 손으로 갓을 바로잡는 사내는

주머니를 두 개나 찼다. 하나는 향을 넣은 주머니인데, 멋쟁이에 한량기질이 다분한 차림이다. 여인은 전모를 썼다. 전모는 삿갓

모양의 대나무 테두리에 기름 먹인 종이를 바른 나들이용 모자다.   갓끈과 전모끈, 두루마기와 치마가 한 방향으로 나부끼는 게

교묘하다. 다들 놀아본 가락이 매무새에서 풍긴다. 은밀하게 교차하는 남녀의 시선에서 이성간의 인력引力이 절로 느껴진다.

 

별일은 이 다음에 펼쳐질 테다. 눈길에서 마음의 교신을 나눈 남녀, 한 발 더 나아간 대거리를 주고받을 만하잖은가. 퍼뜩 선조대

의 문인 임제林悌와 기생 한우寒雨의 저 유명한 멘트가 겹쳐진다.  밉살스럽지만 인용해보자. 한우의 이름 뜻이 '찬 비'라서 임제

는 이런 말로 운을 뗀다.

 

북천北天이 맑다 커늘 우장雨裝 없이 길을 나니

산에는 눈이 오고 들에는 찬 비 온다

오늘은 찬 비 맞았으니 얼어 잘까 하노라

 

'얼어 자다'에 진한 속뜻이 숨어 있다. 알다시피 '남녀 교합'이다. 한우가 질세라 한술 더 올린다.

 

어이 얼어 자리 무슨 일 얼어 자리

원앙침 비취금을 어디 두고 얼어 자리

오늘은 찬 비 맞았으니 녹아 잘까 하노라

 

원앙침은 부부가 베는 베개요, 비취금은 비취를 수놓은 이부자리다. 이불이 따뜻해서 몸이 녹는 게 아니다.

놀아도 이리 놀아야 잘 논다는 소리를 들을까. 무슨 남녀가 만나자 마자 댓바람에 한이불을 덮느냐고 삿대질하지 마라. 옷깃만

스쳐도 인연이고, 하룻밤에 만리장성을 쌓는다면 농익은 눈빛으로도 문지방은 족히 넘는다. 밤새 운우지정을 나눈 남녀는 헤어

질 때 또 어떤 수창酬唱을 벌일까.  여자가 말을 타고 돌아가고 남자가 문밖에서 배웅한다 치자.  남자는 못내 섭섭한 마음을 시

한 수에 담아 내뱉는다.

 

혼이 그대를 따라가 버리니 / 텅 빈 몸만 대문에 기대네

 

여자는 말 위에서 돌아보며 나직이 되받는다.

 

나귀가 더뎌 내 몸 무거운 줄 알았더니 / 하나가 더 실려 있었구려, 그대의 혼

 

 

 

출처: 사람 보는 눈 / 손철주

        펴낸곳 : (주)현암사

 

 

 

'畵 (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석열 파면 염원도  (0) 2025.03.24
공재의 자화상  (0) 2015.07.07
수묵화  (0) 2015.05.03
낚시 - 조어도釣魚圖  (0) 2015.04.25
옛그림을 보는 법  (0) 2015.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