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색의 절묘한 대구
이색李穡이 중국에 들어가 과거에 응시해 장원 급제를 하니, 그 명성이 중국 땅을 울렸다. 한 절에
도착하자 절의 중이 예를 갖추고 말했다.
"그대가 동쪽 나라의 문사로 중국에서 장원 급제했다는 말을 물리도록 들었는데, 지금 만나 보게
되어 얼마나 다행인지 모르겠습니다."
조금 있다가 어떤 사람이 떡을 가지고 와서 올렸다. 중이 이에 시 한 구절을 지었다.
승소僧笑 조금 오니 승소僧笑 적구나 (떡이 조금 오니 중의 미소 적구나).
僧笑小來僧笑小
그러고는 이색으로 하여금 대구對句를 짓게 했다. 승소란 것은 떡의 별칭이다. 이색이 창졸간에 대
구를 지을 수가 없어 사례하고 물러나며 말했다.
"훗날에 응당 다시 와서 갚겠습니다."
그뒤 천 리 밖에서 멀리 노닐었는데, 그곳 주인이 병甁을 들고 오는 것을 보고는 무엇이냐고 물었더
니, 대답하기를 "객담"客談이라고 하였다. 객담이란 술의 별칭이다. 이색이 크게 기뻐하며 드디어
전날의 시구에 대를 맞추어 지었다.
객담客談 많이 오니 객담客談 많구나 (술이 많이 오니 나그네의 말 많구나).
客談多至客談多
반 년 뒤에 돌아가 그 중에게 말해 주니, 중이 크게 기뻐하며 말했다.
"무릇 대구를 얻음에 있어서는 정교함을 귀하게 여깁니다. 늦었다고 해서 무슨 흠이 되겠습니까? 한
구절의 공교함을 얻어서 천 리를 멀다 여기지 않고 와서 갚으니, 이것이 또한 기이하고도 기이한 일
입니다."
출처:於于野譚 학예편 / 유몽인 지음
신익철, 이형대, 조융희, 노영미 옮김 / 돌베개
'어우야담 於于野譚'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동의 월식 시 (0) | 2013.08.03 |
---|---|
중국 미녀에게 준 서장관의 시 (0) | 2013.08.03 |
수진방의 의미 (0) | 2013.08.02 |
세속의 금기 (0) | 2013.08.02 |
구라파의 천주교와 이마두의 천주실의 (0) | 2013.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