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래 우리말에 "도모지(都某知, 도무지)"라는 세 글자를 화두話頭로 삼고 있는데 한마디 말로,
"도데체 누가 알겠는가?"라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즉 모르면 함부로 말하지 말라는 것이다.
운현雲峴이 나라 일을 하자 (사람을)죽이는데 과감하였다. 사학(邪學, 天主敎)을 믿는 자나
위조 화폐를 만드는 자 말고도, 비방이나 무고죄에 걸려들어 죽은 자가 천백 명을 헤아렸다.
포도청의 형졸들이 사람을 죽이는데 싫증을 느껴서 무릇 걸려든 자는 백지 한 장으로 그 얼굴
을 가리고 물을 뿌려 붙여 둔다. 그러면 숨을 쉴 수 없어 곧 절명하게 된다. 그것을 풀이하는
자들은 말하기를 "도모지란 것은 얼굴에 바른 종이[塗貌紙]라고 빈정댔다.
출처: 매천야록梅泉野錄 / 黃玹 著
李章熙 譯 , 明文堂
'매천야록 梅泉野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갑신정변, 김옥균 박영효 (0) | 2013.10.04 |
---|---|
충무공의 8대손과 왜구의 8대손 (0) | 2013.10.03 |
대원군의 익살스런 곡소리 (0) | 2013.10.02 |
원납전怨納錢, 신낭전腎囊錢 (0) | 2013.10.01 |
대원군(大院君)과 장동김(壯洞金)씨 (0) | 2013.10.01 |